반응형
테스트와 품질 평가
테스트의 목적
- 품질 평가는 테스트 목적의 하나로, 소프트웨어의 기능과 비기능적 측면 모두를 평가해야 합니다.
품질 유형 8개 주특성
- 기능 적합성: 요구되는 기능을 만족시키는 능력
- 성능 효율성: 적절한 자원의 사용 및 적정한 반응시간 정도
- 호환성: 다른 시스템과의 상호 연동 능력
- 사용성: 사용자가 이해하고 배우기 쉬운 정도
- 신뢰성: 규정된 조건에서 규정된 기간 동안 오동작 없이 의도된 기능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의 능력
- 보안성: 정보 및 데이터를 보호하는 능력
- 유지보수성: 소프트웨어 유지보수의 용이성
- 이식성: 다양한 플랫폼에서 운영될 수 있는 소프트웨어의 능력
테스트 유형
- 기능 테스트: 기능 요구사항에 중점을 둔 테스트
- 비기능 테스트: 품질 요구사항에 초점을 둔 테스트
- 유형 테스트: 성능, 보안, 신뢰성 테스트 등
테스트와 품질 보증
V&V (Verification and Validation)
- Verification: 검증
- Validation: 확인
-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되며, 요구 분석 단계, 설계 단계, 구현 단계 등에서 적용됩니다.
ISO 및 IEEE 표준
- ISO/IEC 12207:2017: 품질 보증을 위한 소프트웨어 생명 주기 프로세스 표준
- IEEE Std. 730-2014: 소프트웨어 품질 보증 프로세스에 대한 표준
테스트, V&V, 품질 보증의 관계
- 테스트 < V&V < 품질 보증
테스트 기본 용어
테스트 대상과 테스트 레벨
레벨 테스트
- 컴포넌트(단위) 테스트: 부분을 대상으로 한 테스트
- 통합 테스트: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부분의 연결에 초점을 둔 테스트
- 시스템 테스트: 전체 소프트웨어를 대상으로 한 테스트
- 인수 테스트: 사용자의 요구 분석과 필요 기대 수준을 확인하는 테스트
피처와 테스트 유형
- 피처(feature): 테스트 대상의 특성 중 테스트하고자 하는 측면
- 유형 테스트: 기능 피처와 성능, 보안 등을 다루는 비기능 피처에 따라 구분
테스트 설계 기법
- 정적 테스트: 테스트 대상을 실행하지 않고 테스트를 수행
- 리뷰(Review): 산출물을 실행하지 않고 검사
- 정적 분석(Static analysis): 소스 코드의 결함을 자동화 도구로 분석
- 동적 테스트: 테스트 대상을 실행하여 결함을 검출
- 명세 기반 방법: 요구 명세나 설계 정보 등을 이용하여 테스트 케이스 개발
- 구조 기반 방법: 프로그램의 내부 논리 구조를 이용한 테스트 케이스 설계
- 경험 기반 테스트: 테스터의 경험과 직관을 활용한 테스트
테스트 케이스
- 테스트 케이스: 입력값과 예상 결과를 포함한 테스트 요소
- 테스트 절차(procedure): 테스트 준비, 실행, 결과 관찰, 기록 절차 정의
테스트 환경
- 테스트 환경: 테스트 대상을 실행하는 모든 환경 (하드웨어, 운영 체제, 외부 연동 시스템 등)
반응형
'공부 > CST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CSTS] 2024 CSTS FL(일반등급) 합격 후기: 성공적인 공부 방법과 팁 예상 문제 출제 기준 (1) | 2024.09.04 |
---|---|
[CSTS] 1장 테스트 개요: 테스트의 목적 오류 결함 장애 테스트 디버깅재테스팅 (0) | 2024.06.24 |
[CSTS] 동적 테스트 기법 정리: 명세 기반, 구조 기반, 경험 기반 (1) | 2024.06.07 |